This ongoing project, Dimensional Surface Drawings, features 2D surface-based works created with diverse materials : sand, ash, paper dust, paint, wood, plexiglass, canvas, and digital media, each explored through experimental techniques. The process investigates freehand dripping, carving, sewing, painting, and wall murals, extending into digital realms where spatiality and dimensionality are continuously expanded and redefined, transforming the surface into a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field.

< Dimensional Surface Drawings >


이 지속적 프로젝트, Dimensional Surface Drawings는 모래, 재, 먼지, 물감, 나무, 커피, 플렉시글라스, 캔버스, 디지털 미디어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된 2D 평면 기반 작업을 특징으로 하며, 각 재료는 실험적 기법을 통해 탐구된다. 작업 과정은 자유로운 손의 흘리기, 파네기, 쌓기, 꿰메기, 페인팅, 벽화등을 실험하며, 디지털 영역으로 확장되어 공간감과 차원성이 끊임없이 확장·재정의되며, 평면을 다차원적 몰입 경험의 장으로 변모시킨다.

“60 lbs of dust, 2 kg of sand, 32 g of ashes”

60 pounds of dust, 2 kg of sand, and 32 g of ash” carry the symbolic meanings evoked by the materials—death, eternity, impermanence—and invite meditation on the cyclical forces of life and death. Over the course of several months, dust, sand, and ash accumulate in layers to form a drawing that embodies the passage of time...  

“60파운드의 먼지, 2kg의 모래, 32g의 재”는 재료가 연상시키는 죽음, 영원성, 덧없음, 그리고 그 순환의 힘을 묵상하게 하는 상징성을 담고 있으며, 수개월에 걸쳐 먼지, 모래, 재가 층층이 쌓이는 드로잉으로 시간을 축적한 작업이다.

Previous
Previous

Drawing Diary Project >>

Next
Next

Drawing Performance & Working Process >>